빙과 1화 감상 (빙과편 네타 가득)
2012.09.24 20:18
네타 |
---|
그 동안 재밌게 봤던 빙과가 완결난 건 안타까우니
빙과의 여운을 만끽하기 위해서 1화를 되짚어보는 시간을 갖고자 합니다.
그냥 보면 지나쳐버리고 빙과에서 쿄애니가 말하고 싶어했던 걸 아무것도 못 느낄 수 있습니다.
그러니 최대한 빙과 1화에 담긴 쿄애니의 깊은 뜻을 제 능력 하에서 헤아려보겠습니다.
처음 장면은 쿄애니 작품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장면인 벚꽃이 흩날리는 장면입니다.
벚꽃은 피지만 호타로만이 혼자 잿빛 세계에서 살아간다는 점은 클라나드 1화의 연출을 떠올리게 하는군요.
빙과에서의 호타로는 나기사처럼 누군가의 도움이 없으면 평생 잿빛 삶을 살았을 인물입니다.
잿빛 삶을 어느 정도는 원하기에 그렇게 살아가는 호타로와 어쩌다 보니 그렇게 된 나기사는 근본적으로 다르지만
주변 인물에 의해 서서히 변해간다는 점에서는 일맥상통한다고 볼 수 있겠네요.
고전부로 가는 길에 호타로가 운동계열 동아리 활동을 보며 독백하는 장면이네요.
호타로는 자신이 장밋빛 삶을 살아가는 이들을 싫어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게다가 에너지 절약이란 삶의 태도가 여타의 것들보다 더 좋다고 생각하지도 않습니다.
그런데 어째서 호타로는 에너지 절약이라는 쓸쓸한 걸 계속해서 유지하고 있을까요?
필시 호타로의 에너지 절약은 자의로 형성된 게 아닐 겁니다.
2화에서 사토시들이 도서관에서의 사건 해결 후 웃고 있는 모습을 보고 호타로는 생각하는 장면이 있는데
쟤들은 저렇게 장밋빛인데 왜 나는 잿빛이지? 저들과 내가 다른 부분은 뭐지? 라며 자신에게 추궁합니다.
그 부분은 호타로가 저들을 동경하기에 하지 않을 수가 없었던 생각입니다.
여태까지 자신의 의지만으로 에너지 절약을 고집해 왔다면 절대 나올 수 없는 생각이죠.
이건 제가 쓰고 있는 1화의 감상 내용을 넘어서 빙과의 대주제를 건드리기에 사족입니다만
그래도 알고 넘어가는 편이 좋지 않을까 싶어서 나중에 이해하기 쉽게 약간 정리해봤습니다.
생각을 끝낸 호타로는 드디어 자신의 사생활 공간이 될 고전부 부실의 문을 열고 들어가지만
거기엔 이미 에루가 있죠. 그리곤 호타로에게 문이 잠긴 이유를 설명해달라고 요구하면서
에루의 몸에서 자라난 식물들이 호타로를 감싸는데 이건 단순한 말장난을 연출로 표현한 거라네요.
신경쓰여요(気になります。)와 나무가 되요(木になります。)의 동음을 이용한 말장난입니다.
이 글을 쓰기 시작할 당시에는 木になります。란 말장난만 생각했었는데
막상 쓰다 보니 저 꽃의 이름이 궁금해집니다. 꽃말에 또 중대한 의미가 담겨있을 것 같아서요.
첫 날의 마지막 장면인 하교하는 도중 에루는 호타로에게 고전부 가입희망서를 달라고 하는 장면입니다.
호타로는 잠시 갈등합니다만 결국 에루의 손에 가입희망서를 놓고 맙니다.
갈등의 이유는 장밋빛 인생을 자신이 견뎌낼 수 있을 지에 대한 의심때문일 겁니다.
그러면서도 호타로가 에루를 거절하지 못하는 건 에루와 같이 있으면
자신도 장밋빛이라는 선로로 갈아탈 수 있지 않을까 싶어 마지못해 건네주게 된 게 아닐까요?
이 부분에서도 에루의 몸에서 나무가 나오는데 에루와 함께 신경 쓸 일이 많아질 것 암시하는 것 같습니다.
함께 하교하는 중에 호타로는 에너지 절약에 작별을 고합니다.
하지만 이내 말을 번복하고 그 이유가 에루 때문이라고 합니다. 에루가 자신을 장밋빛으로 만들어줄 걸 알고 있는 거죠.
1화의 마지막 부분에서 호타로가 에루를 보류했다는 점으로 미루어보아 호타로는 자신이 여태 익숙해진 에너지 절약을 내치긴 어려울 것 같다고 생각했을 겁니다.
자세한 이야기는 좀 나중에 해드리겠습니다.
다음 날이 되어 숙제가 잊고 안 가져왔다고 주장하는 호타로는 작문 숙제를 다시 하게 되죠.
숙제를 안 했다는 쪽은 에너지 면에서 손해이니 숙제를 잊어버리고 왔다는 말은 거짓말이 아니겠네요.
참고로 호타로가 작문 당시 썼던 글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저는 일본어를 몰라서 일본어 번역기를 써서 해석했습니다.
그래도 못 찾은 한자가 2개 정도 있습니다만 나중에 알게 되면 수정하겠습니다.
혹시 아는 글자라면 알려주셨으면 하네요.
(1장)
「入學一ヶ月の実感と今後の抱負」
입학 1개월의 실감과 지금부터의 포부
一年B租 折木奉太郎
1학년 B반 오레키 호타로
伝統ある祌山高敎に入学する
전통 있는 카미야마 고등학교에 입학하여
恵まれ, はや一々月が(?)ち
思えば自分がこの祌山高敎
생각하면 자신이 이 카미야마 고교
ひとえに その自由な
전적으로 그 자유로운
あります.
있습니다.
わけでも活発な部
이유에서도 활발한 부
とには, 自分自身も入
자신도
ました.
했습니다.
すこし(?)げるだけでし
조금
(2장)
りするほどです.
할 정도입니다.
自分は思案した支に 伝統ある古典部の 再興に尽力することに心を决めました.
저는 전통 있는 고전부의 재흥에 진력하는 것에 마음을 정했습니다.
まだ活動を開始したばかりではありますが, 母校の文化振興の一助となるべく,
아직 활동을 개시했던 바로 직후입니다만, 모교의 문화 진흥에 일조가 되도록,
粉骨砕身する覚悟であります.
분골쇄신 할 각오입니다.
もちろん部活動のために学業をおろそかにするつもりありません.
물론 부활동을 위해 학업을 소홀히 할 생각도 없습니다.
市內随一の学校である祌山高敎の名を汚さぬためにも,
시 제일의 학교인 카미야마 고교를 더럽히지 않기 위해서도,
日々の勉学に励み続けようと, 固く决意しております.
나날의 면학에 계속 힘쓰려고 , 굳게 결의하고 있습니다.
祌山高敎の一買としての誇りを胸に, 今後一層の研鑚を積む所存です.
카미야마 고교의 일매로서의 자랑을 가슴에, 이후 한층 더 연찬을 쌓을 생각입니다.
짤을 보면 알 수 있듯 몇 몇 가려진 부분때문에 1장은 제대로 된 해석이 거의 없다시피 하지만,
2장에선 그나마 제대로 해석해서 작문 내용이 무슨 내용인지는 유추할 수 있습니다.
카미야마 고교처럼 자유분방하고 전통이 있으며 시 제일 가는 고교에 입학한 건
호타로 인생에서 큰 명예이니 열심히 공부하면서도 공부만이 아닌 문화 면도 발전시키겠다는 스스로에 대한 약속이 주 내용이네요.
뭐, 작문 제목부터가 앞으로의 포부니까요.
솔직히 별 내용은 없네요.
위의 호타로 반에 걸려있는 급훈은 切磋琢磨와 確乎不抜인데 각각 공부를 열심히 함, 끈질김이라는 내용입니다.
이제 무당 거미 사건입니다.
무당 거미 사건이 조작이었다는 걸 알고 나면 다시 볼 때 많은 게 보이더라고요.
호타로의 에루가 신경쓰여서 작문을 쓰는 중에 옆을 흘낏흘낏 거리는 모습이라거나
땀이 삐질하고 몇 방울 흐르는 걸 보고 쿄애니의 섬세함에 다시 한 번 감탄했습니다.
무당 거미 사건을 해결하러 1층에 내려가자 게시판에서 장밋빛(薔薇色)이라는 글자가 쏟아져 호타로를 덮칩니다.
호타로가 아직 장밋빛 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부담스러워 한다는 걸 나타내는 부분이죠.
또 사족입니다만 아, 점술연구회. 제 친구가 여기에 들어갔어요라는 부분은 칸야제 부분에 관련 내용이 있습니
에루가 무당 거미 사건의 표면적 전말을 듣고 '그렇게 듣고 나면 그런 것 같긴 한데 놀라움이 없어요' 라고 하자 호타로는 고개를 푹 숙입니다.
하교를 하며 사토시는 호타로가 이 사건을 조작한 이유는 에루가 신경쓰는 걸 이쪽으로 돌려 편하게 갈 생각이었다는 말에
모른다고 거절하면 될 걸 뭣하러 그렇게 복잡하게 처리하냐며 호타로가 오늘 잘못 생각한 점을 지적합니다.
사토시는 호타로가 변하고 싶어한다는 걸 모르기 때문에 호타로가 에루같은 장밋빛을 구가하는 사람은 익숙치 못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지만
그것보단 호타로가 자신이 변할 수 있을지 그리고 변하면 어떻게 될 지를 두려워하기에 이 같은 행동을 했을 것 같네요.
그러니 사토시가 에루를 거절했을지도 모른다고 말했을 때 바로 아니라고 화를 낸 겁니다.
이대로 잿빛 속에서 살아가는 것 또한 싫다고 생각하기에
하지만 장밋빛의 삶은 자신이 견뎌낼 수 있을 지도 불명확 상황이니 진퇴양난의 기로에 서 있는 게 지금의 호타로입니다.
그러다 사토시가 호타로에게 보류라는 말을 꺼내면서 호타로는 마음을 다잡습니다.
보류는 일단 이대로 지켜다 보면서 장밋빛이 될 지 잿빛이 될 지 천천히 생각할 수 있는 수단이겠네요.
사토시가 후에 오늘 귀찮아 했던 일은 나중에 의외로 큰 값으로 치루게 된다고 하는데
이건 에루가 신경쓰여요 라며 매달리는 일을 해결함으로써 점점 장밋빛에 가까워지게 되어
에너지 절약을 버리게 되는 일을 초래할 거란 복선입니다.
실제로 빙과의 절정에서 자신은 장밋빛 삶이 부럽다며 마지막 선택을 하니까요.
댓글 22
-
하이웨이
2012.09.24 20:21
오랜만에 개념글이 올라와서 기쁘다 빙과 2기는 기대하기 힘들겟죠? -
하이웨이
2012.09.25 01:52
근데 작가가 거의 2년에 한권 내는 수준이라서 빙과 2기 나올때 쯤이면 나 유부남일듯 -
京都
2012.09.24 20:35
현지에선 5권까지 나왔다고 하고 6권은 소식도 없으니 근시일 내엔 불가능하지 않을까. 4권에 2쿨이면 5권 6권 잡아서 1쿨로 만들면 될 지도 모르겠는데 2학년 부분이 8권 쯤에 끝날테니 그 때 2쿨로 제작해줬으면 한다. -
京都
2012.09.25 12:18
빙과가 8000장 정도 팔렸다고 하는데 그 정도도 꽤 잘 팔린 수준은 맞지만 2기나 극장판은 도저히 가망이 없다.
게다가 남은 1권 분량으로 2기나 극장판 만들기엔 벅차고 극장판 만들만한 내용이 아닌게 또 옴니버스식이라.
빙과가 케이온처럼 단순한 일상물도 아니고 하루히처럼 SF물도 아니니 분량을 늘리거나 반복하는 방식으론 안 되지.
빙과는 아무래도 일상 노선을 탄다고 보는 게 맞는 듯. 아직 연재 중이지만 그렇다고 후속이 제작될 가망은 없는 일상처럼 갈 거라 본다. -
사람사는곳
2012.09.25 01:30
제 생각은 쿄애니가 2기를 만들려면 1기를 만든 시점에서 얼마만큼 인기가 있느냐 입니다.
링크 걸어논 글 읽어주셔도 좋겠지만 좀 정리하자면 1기를 만든 시점에 미리2기를 구상한 경우는 없다란 겁니다.
하루히, 케이온 둘다 1기 끝나고 2기 만들어야지 생각한게 아니란 거죠.
처음부터 단발성 기획이었다가 상황에 맞춰 2기도 나온거죠.
키게임 원작의 작품, 문토, 풀메탈은 그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애니화 시점에 스토리가 이미 완결이 났던가 - 키게임원작
이미 남이 만들던 기획에 올라탔던가 - 풀메탈시리즈
처음부터 그딴거 관계 없이 오리지널이던가 - 문토시리즈
빙과,하루히,케이온은 애니화 시점에 원작스토리가 미완상태 - 분량이 미정 - 이고,
남이 하던 기획이 아니며, 오리지널도 아닙니다.
따라서 빙과가 2기를 뽑느냐 마느냐는 하루히, 케이온의 경우를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1기가 대박을 치면 되는거죠. 아주 크게. 그럼 2기 만듭니다. 극장판도 만들어줘요. -
京都
2012.09.25 01:09
풀메탈은 빙과처럼 생각할 수 없는 게 후못후에서는 개그부분만 뽑아서 만든 거고 빙과는 그렇게 만들 수가 없으니 관련이 없음.
에어, 카논, 클라나드도 최대한 원작에 맞춰서 진행했고 문토는 오리지널이니 차치.
하루히의 경우에는 1기 내용을 순서대로 나간 게 아니라 뒤죽박죽 섞었다가 나중에 2기를 냈잖아. 하루히는 빙과와 다르지.
빙과는 여분의 스토리가 1권에 모든 내용이 있지만 당시 하루히는 몇 권에 걸쳐서 남았던 거니까. 가장 늦게 애니화 된 소실이 4권인데 뒷부분 내용이 TVA에 나왔다는 것부터가 나머지 작품과는 다르게 생각해야 함.
게다가 그 연출은 이미 퇴사한 야마칸의 계략이니 앞으로의 쿄애니와는 궤를 달리하는 게 아닌가.
케이온도 1기에 1학년과 2학년까지 나왔고 2기도 극장판도 3학년때까지의 이야기지.
일상도 오리지널 스토리 넣은 거 말곤 원작 시간순서 그대로 따라갔고.
그러니 쿄애니는 원작의 시간적 순서를 중시하고 1기와 2기에 확실한 차이점을 주려는 것같던데 빙과 원작에서 2학년 끝날 때까진 애니화고 뭐고 없을 걸. -
하이웨이
2012.09.25 01:54
그런데 빙과 판매량이 그렇게 흥한게 아니라서 상품성없다고 접을수도 있을거 같은데 -
사람사는곳
2012.09.25 00:47
하루히와 케이온의 경우를 생각한다면 원작분량과 2기는 별 상관이 없을듯 합니다.
늘이거나 반복하면 2쿨짜리 뚝딱만드니까요;;;
그럼 분량장난질을 해서라도 2기를 내는 경우는 뭐냐면... 제가 생각하는 기준은 극장판입니다.
http://www.haganai.me/talk/1425529
빙과가 극장판까지 만들만큼 현재 잘나간다면, 하루히나 케이온 급의 대박상품이라고 쿄애니가 생각한다면 금방이라도 가능합니다.
원작분량을 신경 안쓰니까요.
빙과가 쿄애니가 힘줘서 만든건 사실입니다. 자기가 스폰서 위치에서 만든 만큼 기합이 달라요.
그러나 이제부턴 스스로 원작자가 되어 (자체 문고레이블 작품들 애니화) 애니를 만드는 만큼 그쪽으로 신경을 쓸거라 생각합니다.
몇주뒤 부터 시작될 <중2병이라도...생략> 같은 작품들말이죠. -
후장글 읽고 이거 읽으니 위화감 든다
-
수은중독
2012.09.24 20:58
단순한 변태가 아니셨네요. 잘 읽었습니다. -
미믹
2012.09.24 21:09
잘봤음 -
레키
2012.09.24 21:24
저번글이랑 위화감이...잘봤습니다 -
Hackers
2012.09.24 22:50
어마어마한 필력은 글쓴이의 변태성에 기인한것이군요. 잘봤습니다..
그냥 지나칠수도있는 장면에 그런 의미가 숨어있을줄은 생각조차 못했네요 -
이제부터 저 한자는 후장으로 읽는다
그리고 나기사가아니라 토모야를 잘못쓴거겠지 ㅇㅇ
호타로보다는 사토시에 애착이 많이가던데 대부분 호타로만 좋아하더라 썅 -
京都
2012.09.25 01:33
그렇게 보니 나기사보다는 토모야에 가깝기도 하네.
인생이 어떻게 바뀌었냐를 중점으로 봐서 나기사에 가깝다고 생각했는데 방향성의 변화란 관점은 좋은 일침이었다.
나기사 부분 지적해 준 건 모두 고맙다. -
이양반이 수십줄써놓고는 스타킹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사람사는곳
2012.09.25 01:14
전혀 어색하지 않습니다만
빙과쪽 인물을 치탄다가 아닌 호타로로 든다면
클라나드에선 나기사보다는 토모야쪽에 가깝다고 생각합니다.
단지 성별때문이 아니라
등장인물을 고정인자와 비고정인자로 나눈다고 했을 때
호타로를 변화하는 캐릭터라고 한다면 나기사의 경우 결국 "방향성"이 변하지 않습니다.
주변에 친구가 없어도 토모야와 친구가 생겨도 나기사가 추구하던 방향성은 변하지 않습니다.
토모야는 나기사와 만난 후 그 방향성이 변했죠.
치탄다 역시 성장은 하되 방향은 바뀌지 않습니다. 마야카도 그렇고요. 역시 여성의 심지가 굳은것인지;
사토시의 경우 과거와 지금의 차이를 보여주면서 한번은 방향전환을 거첬다는걸 보여줍니다.
본편에선 그 방향전환 후에 그 길이 견고해지는 과정쯤이라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론 겨우 고1 밖에 되지 않은 인간이 자기자신에 대한 평가에
그마만큼의 절대성을 부여하는게 중2병 스럽게 느껴지긴 합니다만.
그리고 호타로는 강건너서 불구경..아니 꽃구경 하듯 주변의 장미빛을 처다보다가
스스로 그쪽으로 강을 건너는 단계에 이르러 방향성의 변화에 이르게 됩니다.
최종화에 다리를 거너서 벗꽃나무 아래로 지나가는 장면이 그런 상황을 암시한다고 생각합니다.
마지막 컷의 치탄다와 대화도 이 벗꽃나무 아래서 이뤄지죠.
아무튼 간만에 섬세한 감상글을 읽게되서 좋았습니다. 저도 스타킹이 좋습니다. -
京都
2012.09.25 00:01
나기사가 처음에 연하의 같은 반 애들한테 다가가지도 못하고 주변인물로 낙인찍혀서 괴로워했지만 토모야를 통해 여러 친구들을 만나게 되서 성장했다는 얘기였는데 어색한가? -
사람사는님이 잘설명해주셨네ㅇㅇ
사토시 완벽한듯 보이면서도 여러가지로 고뇌하고 좌절하는게 좋음 ㅇㅇ -
미믹
2012.09.25 01:17
나기사 맞는 거 같은데
나도 사토시랑 마야카가 위태로워서 정이 좀 감 -
람쥐
2012.09.25 00:03
왜 쿄애니가 神의 제작사인지 다시 한번 확인 시켜준 애니였던 거시다.. -
흑갈
2012.09.25 13:40
빙과는 진짜 쿄애니 최고의 작품이라고 감히 말할 수 있을 것 같다.
클라나드나 하루히처럼 비일상이나 판타지에 기대지 않으면서,
일상속에 담겨있는 놓치기 쉬운 감정들을 잘 캐치한 게 최고...
10점 만점... 줘야겠다. 내가 안 주면 또 누가 주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