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모닝티쳐- 내 인생 단 원톱의 만화.
2013.06.26 05:53
네타 |
---|
굿모닝티쳐! 90년대 중,고딩들이 이 한마디에 얼마나 설레였는지, 말로 다 하지 않아도 충분할 것이다. 서영웅의 굿모닝티쳐는 정말 순수한 의미의 '학원물'을 정립한 사람이며, 그 이후에 죽순처럼 튀어나오는 학원물들은 굿모닝티쳐의 아성에 발끝만큼도 따라오지 못했다. 굿모닝티쳐에는 그 만큼 독특한 매력이 있으며, 사람들로 하여금 공감을 끌어왔다.
다른 학원물들과 전혀 다른 한가지, 굿모닝티쳐만이 가지고 있는 요소는 바로 '리얼 학원물' 이라는 것이다. 흔해빠진 사랑이야기, 고등학생 주제에 말도 안되는 하렘, 이해할 수 없는 주인공들의 행동, 어딘가 나사가 빠진듯한 등장인물, 이런 학원물에 즐비한 요소들이 굿모닝티쳐에는 단 하나도 들어가있지 않다. 굿모닝 티쳐에게 있는 것은 순수하게 '우리나라의 고등학교' 뿐이다. 즉 진로에 대해 고민도 하고, 시험에 대한 스트레스도 받고, 대입을 위해 죽어라만 공부해야 하는, 그런 고등학생들의 이야기가 바로 굿모닝 티쳐이다.
캐릭터들 하나하나는 제각기 다르지만, 현실에 있을 법 한 캐릭터들 뿐이다. 모범생, 일진, 공부는 능숙하지만 별 관심이 없는 여학생, 사교성이 높은녀석 등 고등학교에 다녔으면 만나봤을 법 한 그런 친숙한 녀석들이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아니, 주인공이란 말이 틀렸을지도 모른다. 이 작품에는 딱히 주인공이 없다. 물론 중심이 되는것은 정경희 선생과 영민이지만, 그들을 주인공이라고 볼 수는 없다. 제각기 다른 성격을 가진 캐릭터들 하나하나가 모두 주역이며, 그들 스스로 고등학생에서 어른으로 성장 해 나간다.
그중에서도 가장 주목할 만한 인물은 누가 뭐라해도 정경희 선생일 것이다. 학생들에게 생각하게 하고 즐기게 하며, 때로는 학생들의 이해자가 되면서 때로는 선생으로써 따갑게 충고 해 주는, 그런 친구같은 선생이 바로 정경희 선생이다. 미래를 위한 투자가 아닌 현재를 즐기라는 정경희 선생의 교육철학은, 지금 다시 봐도 놀랍다는 생각밖에 들지 않는다. 아이들은 이런 선생 아래서, 각자 나름대로 성장해 나간다.
뭔가 힘들고 뜻대로 잘 안되어 고민할때 자신이 무기력하게 느껴질때, 환경탓만 하지 말고
스스로 강한 사람이 되어보세요
강하다고 정말 힘이 세거나 공부를 잘하는 그런걸 말하는게 아니라
책임감 잇고 냉정한 '판단력'을 지닌 그리고 '꿈'을 잃지 않는 사람이 되라는 거예요.
자신이 지금 '해야만 하는 일'이 뭔지 알고 게으름 부리지 않으며...
'할 수 있는 일'은 뭐고 할수 없는 일은 뭔지. 자신의 능력을 정확히 파악하고 있고...
언제나 '하고 싶은 일'이 뭔지 잊지 않는 사람이 되라고요.
여러분들 중에 뭔가 착각하고 있는 사람들이 많이 있는데요...
지금의 이 고3 시절이 지나가야지 진정한 내 세상이 펼쳐질 것 같다... 라는 생각 말예요
지금 여기... 이 자리에 이렇게 앉아 있는 사람들은 누구죠?
왜 1년 후의 자신을 생각하느라 지금의 자신을 잊는 거예요?
상급학교 진학을 위해 들어온 인문계 고교인 이상
대학에서의 자유를 꿈꾸며 힘을 얻으려 할 수도 있겠지만...
그런 생각 하느라 지금의 자신의 삶을 비하하고... 부정하며...
방황하는 건 스스로에게 손해일 뿐이에요.
미래를 위해 이 1년을 투자 희생한다고 생각하는 것도 우습구요.
그런 생각하면 오히려 더 힘들지 않아요?
지금의 자신을,
자신의 삶을,
이 학창시절을,
좀 더 소중히 여기는 사람이 되세요.
어차피 보다 나은 미래를 꿈꾸는 것이라면,
대학생활에 대한 환상이 가져다 주는,
거품같은 희망이 힘이 되는게 아니라...
지금 곁에 있는 친구...
가족...
선생님이...
힘이 될 수 있기를...
참 이 두 대사를 보고 얼마나 감동했는지. 카르페디엠! 이 한마디가 얼마나 중요한 말이었는지, 현재를 즐기라는 말이 왜 그렇게 중요한 것인지, 이제 조금씩 깨닫게 되는 나이가 되는 것 같다. 새벽에 감성이 돋아서 그런가.

어느새 내가 정경희 나이를 훌쩍 넘겼는데 이 여자는 정말 이상적인 先生인 듯...
아무튼 GMT는 10대 때 느끼는 거랑, 20대 때 느끼는 거랑, 현재 느끼는 게 다 달라서 좋음.
지금 보면 작가의 넋두리 같은 거나 단점도 좀 보이긴 하는데 그래도 멋진 작품인 듯 싶다.